도서관의 날·도서관주간

  • 블로그
  • 인스타그램
  • 유튜브
프로그램해커톤 대회
2025 도서관의 날 기념
2025 미래도서관
정책
아이디어 해커톤 대회
현장 발표
일시
2025. 4. 11.(금) 13:30~18:00
장소
국립중앙도서관 국제회의장
대상
국민 누구나
언어
한국어, 수어통역 진행
주최
일정 안내
[세션1] 정책 아이디어 발표
개회 13:30 ~ 13:31 사회자 개회 멘트
인사말씀 13:31 ~ 13:35 국가도서관위원회 위원장
최종심사 1부 13:35 ~ 13:53 본선 1팀제안 발표(10분) 및 질의응답(8분)
13:53 ~ 14:11 본선 2팀제안 발표(10분) 및 질의응답(8분)
14:11 ~ 14:29 본선 3팀제안 발표(10분) 및 질의응답(8분)
14:29 ~ 14:47 본선 4팀제안 발표(10분) 및 질의응답(8분)
14:47 ~ 15:05 본선 5팀제안 발표(10분) 및 질의응답(8분)
15:05 ~ 15:25 휴식
최종심사 2부 15:25 ~ 15:43 본선 6팀제안 발표(10분) 및 질의응답(8분)
15:43 ~ 16:01 본선 7팀제안 발표(10분) 및 질의응답(8분)
16:01 ~ 16:19 본선 8팀제안 발표(10분) 및 질의응답(8분)
16:19 ~ 16:37 본선 9팀제안 발표(10분) 및 질의응답(8분)
16:37 ~ 16:55 본선 10팀제안 발표(10분) 및 질의응답(8분)
16:55 ~ 17:25 휴식
[세션2] 영상관람 및 심사총평
영상관람 17:25 ~ 17:28 해커톤 활동 영상
심사총평 17:28 ~ 17:35 심사위원장 총평 및 결과발표
시상 17:35 ~ 17:55 시상식
폐회 17:55 ~ 18:00 폐회 및 마무리 말씀
최종발표팀
4B연필
팀원 권리혜, 김유림, 신성욱, 이현량
도서관에서 young글智~
노인세대의 삶을 그림책으로 남기는 사업을 통해 노인세대 도서관 이용 활성화와 지역문화 자료 수집 및 노인세대 자존감 회복에 기여하는 맞춤형 도서관 서비스 정책 마련.
LIBSTART
팀원 김진원, 나지혜, 신윤섭
특화도서관종합플랫폼(SLIM)
전국 특화도서관의 현황 파악 및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여 특화사서 커뮤니티 구축, 특화자료 목록, 특화 주제별 기초데이터 등을 제공하고 운영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마련.
MoDo
팀원 고승욱, 고동찬, 박현민, 장우진
모두 도서관(MODU Library)
IoT, AI,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개인 맞춤형 학습 환경을 제공. 좌석 예약, 학습 자료 추천, 실시간 시설 관리 기능 등을 통해 도서관 이용 편의성과 운영 효율성 극대화.
구하단
팀원 김민해, 서나영, 이유진, 천하연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도서관 구단 시스템 “RIVAL-ARY”
인구감소지역을 포함하는 광역대표도서관을 기준으로 도서관 구단을 창설.
시민 참여형 전국 도서관 대회를 통해 지역 공동체 활성화 및 연대감을 강화하여 지역소멸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것이 목표.
로그라이크(Loglike)
팀원 권준형, 손보경
시간과 경험을 잇는 기록순환플랫폼 : Loglike
개인의 기록을 공유하고 재해석하는 순환형 아카이브 시스템을 도입하여 도서관을 단순 보존 공간이 아닌 지식 창출과 비판적 사고를 촉진하는 플랫폼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목표.
물망초
팀원 김승주, 김단아
버려지는 책에서 이끌어내는 새로운 추억,
<도서 작별전> 프로젝트
폐기 도서를 활용하여 전시 및 체험, 나눔 행사 등을 포함한 프로젝트를 진행. 이를 통해 도서관과 실물 도서가 지닌 추억 공유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그 의미를 다시 생각할 기회를 마련하고자 함.
북글북글
팀원 강현수, 송유진
MZ 세대의 패션 독서를 문화로, 경험의 통로가 되는 도서관
지식 정보의 전달만을 위한 도서관에서 벗어나 NFC 책갈피, 유명인 서가, 휴식 공간의 구성 등으로 도서관 이미지를 변화시키고, MZ 세대의 ‘패션 독서’를 그저 유행이 아닌 하나의 문화로 만드는 것이 목표.
브로컬리
팀원 김민정, 김가희, 공태원
브로컬리 프로젝트:
한국문학·향토자료에 숨을 불어넣다
지역 한국문학과 향토자료를 보존, 활성화하기 위해 자료 아카이빙, 웹서비스구축, 독서 프로그램 기획, 홍보 등을 추진하여 도서관을 지역 문화의 정보중심지로 만듦.
타임컬쳐(Time Culture)
팀원 공지애, 김현상, 백지영, 황영빈
타임컬쳐(Time Culture)
- “지역의 시간 세계의 이야기”
타임컬쳐는 한국인의 다문화 인식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시계로, 지역별 비교와 퀴즈 프로그램을 통해 자연스럽게 경쟁을 유도함.
또한, 다문화 이야기책은 이들의 경험과 차별의 이야기를 담아 공감을 확산시킴.
두 요소를 통해 도서관을 단순한 대출 공간이 아닌 다문화 교육과 교류의 장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파이브센스
팀원 안유민, 윤태지
오감문고
주민 참여형 도서관 모델로, VR·AR, 오디오북, 향기·음식 체험 등
감각적 요소를 활용한 몰입형 독서 경험을 제공하여 지역 공동체 활성화와 문화 보존을 목표로 함.
Contact
주관 사무국 070-5159-5447
1:1문의